2025년 4월 연금저축펀드 수익률 현황 (운용기간: 4년 5개월)
연금저축펀드 운용 4년 5개월째입니다.
1. 자산별 등락률
구글 파이낸스(www.google.com/finance)에서 가져온 지난 한 달간의 각 자산의 등락률 그래프입니다.

지나 달에 이어 미국 주식은 계속 고전하고 있습니다. 신흥국은 지난 달에 3%정도 올랐으나 이번 달에 다시 3% 떨어졌습니다. 금은 지난 달에 이어 계속 상승 중에 있습니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식이 하락하는 가운데 그나마 금이 자산 방어를 해주고 있습니다.
국고채는 두 달 연속 2%대 상승하고 있고 미국채는 지난 달 5% 가까이 오르더니 이번 달에는 조금 하락했습니다.
2. 자산배분 진행 및 누적 수익률
기존 비율 | 변경 비율 | |
미국 주식(S&P500) | 40% | 좌동 |
신흥국 주식 | 20% | 좌동 |
금 | 10% | 좌동 |
국고채 10년 | 11% | 좌동 |
미국채 10년 | 11.5% | 좌동 |
현금성(단기채) | 7.5 % | 좌동 |
자산 비중은 지난달과 동일합니다. (위험 자산:안전자산 = 70:30)
요즘 미국 주식이 계속 하락하는 모습을 보면서 S&P500의 일부를 다른 자산으로 옮겨야 하는 거 아닌지 고민이 됩니다.
만약 다른 자산으로 일부 이동한다면 같은 선진국인 유럽이나 일본 또는 중국으로 이동할 거 같습니다. 현재 국내 시장에 상장된 유럽 관련 대표적인 ETF로는 유로스탁스50과 유로스탁스배당30이 있습니다.

보다 많은 기업에 분산투자 한다는 관점에서는 유로스탁스배당30보다 유로스탁스50이 더 나아보이는데 유로스탁스50는 환노출이 안 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수수료는 유로스탁스50이 0.36% 정도되며, 유로스탁스배당30은 0.75%로 두 배가 넘습니다.
일본의 지수추종 ETF는 TOPIX100과 니케이225를 추종하는 상품이 있습니다.

연 수수료는 0.4~0.5% 정도로 둘 다 비슷하고 주가 움직임 추이도 비슷합니다.
중국 관련 지수로는 A50, CSI300, 항셍25가 있습니다. A50과 CSI300은 상하이와 심천 거래소에 상장된 기업을 추종하는 것으로 보이며 항셍은 홍콩 거래소의 기업을 추종합니다.

중국 전체를 대표하는 지수는 A50, CSI300이지만, 이미 신흥국MSCI ETF에 중국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생각하면, 항셍을 포함시키는 것도 괜찮아 보입니다.
일단 이번 달은 기준 분배 비율을 유지했습니다. 월 불입액 30만원을 예수금에 포함하여 각 자산별 비중에 따라 리밸런싱을 진행하였습니다.
- KODEX S&P500 (379800): 74주 매수
- PLUS 신흥국MSCI (195980): 5 매수
- TIGER 골드선물 (319640): 34주 매도
- ACE KRX금현물 (411060): -
- TIGER 미국채10년 (305080): 1 매도
- KIWOOM 국고채10년 (148070): 2 매도
- TIGER 단기통안채 (157450): 1 매도
마지막으로 누적 수익률을 계산했습니다.
항목 | 수치 |
입금액 | 57,397,321 |
평가 금액 | 66,229,340 |
수익 | 8,832,019 |
누적 수익률 | 15.39% |
누적 수익률은 지난달 대비 2.33% 내려가 +15.39%를 기록하였습니다.
그럼 이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