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경제, 금융136 동적 자산배분 전략(VAA) - 16개월 경과 동적자산배분 VAA 16개월차 현황입니다. 4월 10일 기준, 4개의 공격자산 모두가 플러스를 기록하였습니다. 이 중 가장 높은 스코어는 SPY였는데, VAA를 시작한 이래 모든 공격 자산군이 플러스이면서 S&P500가 가장 높은 스코어를 기록한 것은 이번 달이 처음입니다. 누적 수익률은 지난 달보다 조금 개선되서 -7.41%입니다. 3월에서 4월 초까지 각 자산군의 움직임을 보면 모든 자산군이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IEF(장기채 4.84%)와 LQD(회사채 4.81%) 가장 높은 상승율을 보였고, SPY (S&P500 4.11%)가 뒤를 이었습니다. 그럼 5월에 다시 찾아보겠습니다... 2023. 4. 10. 2023년 3월 연금저축펀드 수익률 현황 (운용 867일째) 1. 자산별 등락률 지난 달에 이어 여전히 구글 파이낸스 함수에 오류가 있어 지난 한 달동안의 주가 정보를 구글 스프레드시트에서 가져오지 못했습니다. 아래는 구글 파이낸스 (www.google.com/finance)에서 가져온 올 해 초부터 현재까지의 각 자산의 등락률 그래프입니다. 지난 한 달간 각 자산별 등락을 살펴보면, S&P500은 -1.15%, 신흥국은 0.9%, 금은 8.86%, 국고채10년은 3.77%, 미국채 10년은 2.71%, 단기채(현금성)은 0.3%을 기록하였습니다. 그야말로 금이 무섭게 올랐던 3월입니다. 2. 자산배분 진행 및 누적 수익률 기존 비율 변경 비율 미국 주식(S&P500) 31% 31% 신흥국 주식 25% 25.5% 금 10% 10% 국고채 10년 13.5% 13.5.. 2023. 3. 30. 동적 자산배분 전략(VAA) - 15개월 경과 동적자산배분 VAA 15개월차 현황입니다. 3월 6일 기준, 4개의 공격자산 중 SPY와 VEA(미국외 선진국 주식)의 스코어는 플러스이지만, VWO(신흥국 주식), AGG(총 채권)는 마이너스이므로 이번 달에도 수비 포지션입니다. 수비자산중 가장 스코어가 높은 SHY(미국 단기채)가 선택되었고, 지난 달에도 SHY였기 때문에 별도 재분배 작업은 없었습니다. SHY의 주가가 조금 내려가서 누적 수익률도 -7.57%에서 -8.78%로 좀 더 악화되었습니다. 2월에서 3월 초까지 각 자산군의 움직임을 보면 SPY가 유일하게 플러스를 기록했고, 나머지 자산들은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했습니다. 다음 스코어 확인은 4월 초에 진행하겠습니다. 그럼 이만... 2023. 3. 7. 2023년 2월 연금저축펀드 수익률 현황 (운용 837일째) 1. 자산별 등락률 구글 파이낸스 함수에 오류가 있는지 1월 20일부터 현재까지의 주가 정보를 구글 스프레드시트에서 가져오지 못했습니다. 아래는 구글 파이낸스 (www.google.com/finance)에서 가져온 올 해 각 자산들의 등락률 그래프인데, 대략적으로 지난 한 달 동안은 S&P500이 매우 좋은 움직임을 보였고, 미국채와 국고채도 1% 이상 상승한 반면, 신흥국 주식과 금은 성적이 안 좋았습니다. 2. 자산배분 진행 및 누적 수익률 지난 포스트에서 언급한 것처럼 좀 더 높은 MDD를 감수하더라도 장기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노리기 위해 위험 자산의 비중을 조금 높였습니다. https://carragher.tistory.com/343 정적자산배분 전략으로 연금저축펀드 2년 운용한 후기 어느덧 연금.. 2023. 2. 28. [김일구의 쩐쟁] 인플레이션 시기의 주식시장, 어떻게 움직일까? 인간 심리적 관점, 역사적인 관점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30년 동안의 미국의 소비자물가상승률과 S&P500 주가지수 그래프를 보면 30년 동안 소비자 물가가 네 번의 상승/하강 곡선을 그리는 모습을 보였다. 60년대 베트남 전쟁으로 유동성이 많이 풀렸던 것처럼 현재도 지난 10년 간의 양적완화로 시장에 엄청나게 많은 유동성이 풀려 있다. 그럼 이렇게 풀린 유동성은 어디로 갈 것인가? 이 돈은 가격을 올릴 수 있는 자산을 가진 사람들에게 갈 것이다. 주가를 올릴 수 있으면 주식을 가진 사람들이 돈을 벌 것이고 원유 가격을 올릴 수 있다면 OPEC 국가들이 돈을 가져갈 것이다. 부동산도 마찬가지... 이처럼 자산 가격 상승을 통해 돈을 벌고자 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라고 부를 수 있다. 이러한 인플레이션 기대 심.. 2023. 2. 18. 동적 자산배분 전략(VAA) - 14개월 경과 동적자산배분 VAA 14개월차 현황입니다. 지난 1월에는 포스팅을 못했는데, 자산배분 상황은 변동이 없이 VEA를 유지했었습니다. 아래 보시는 것처럼 1월에도 12월과 마찬가지로 모든 공격 자산의 스코어가 플러스였고, 그 중 VEA의 스코어가 가장 높아서 VEA를 계속 유지했습니다. 2월 스코어를 살펴보면 VWO와 AGG의 스코어가 마이너스 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결국 이번 달에는 다시 수비 자산으로 전환되었으며 수비 자산중 그나마 가장 스코어가 높은 SHY (1~3년 미국 단기채)가 낙점되었습니다. VEA는 지난 두 달동안 꽤 높은 상승을 보여줬고 덕분한 계좌 수익률이 -13.88%에서 -7.57%까지 개선되었습니다. (그래도 아직 마이너스...ㅠㅠ) 지난 한 달간의 각 자산군의 가격 변동 그래프입.. 2023. 2. 14. 2023년 1월 연금저축펀드 수익률 현황 (운용 804일째) 2023년 1월 연금저축펀드 현황입니다. (운용 804일째) 1. 자산별 등락률 이번 달에도 금(+7.17%)과 신흥국 주식(+10.10%)이 상승했습니다. (석달 연속 상승) 반면 S&P500(-1.78%)이 하락을 보였고 미국채 10년(-4.85%)도 하락하여 석 달 연속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국고채 10년(0.66%)는 약간 상승하였습니다. 2. 자산배분 진행 및 누적 수익률 지난 포스트에서 언급한 것처럼 좀 더 높은 MDD를 감수하더라도 장기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노리기 위해 위험 자산의 비중을 조금 높였습니다. https://carragher.tistory.com/343 정적자산배분 전략으로 연금저축펀드 2년 운용한 후기 어느덧 연금저축 계좌를 자산배분 전략으로 운용한 지 만 2년이 되어 그동안 .. 2023. 1. 26. 2022년 12월 연금저축펀드 수익률 현황 (운용 775일 째) 2022년 12월 연금저축펀드 현황입니다. (운용 775일째) 1. 자산별 등락률 이번 달에는 금(+2.64%)과 신흥국 주식(+1.64%)이 지난 달에 이어 두 달 연속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반면 미국쪽 자산은 모두 안 좋은 모습을 보였는데, S&P500(-8.85%)이 아주 큰 폭의 하락을 보였고 미국채 10년(-5.07%)도 하락하여 두 달 연속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국고채 10년(-1.76%)도 약간 하락하였습니다. 2. 자산배분 진행 및 누적 수익률 지난 포스트에서 언급한 것처럼 좀 더 높은 MDD를 감수하더라도 장기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노리기 위해 위험 자산의 비중을 조금 높였습니다. https://carragher.tistory.com/343 정적자산배분 전략으로 연금저축펀드 2년 운용한 후.. 2022. 12. 29. 동적 자산배분 전략(VAA) - 12개월 경과 동적자산배분 VAA 12개월차 현황입니다. 이번 달에는 처음으로 공격 자산들의 스코어가 모두 플러스를 기록하였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스코어가 높았던 자산은 VEA (Vanguard Developed Markets Index Fund ETF)로 미국 이외 선진국의 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VAA 로직에 따라 SHY (1~3년 미국 단기채)가를 매도하고 VEA를 매수했습니다. SHY는 지난 한 달간 거의 가격 변화가 없었고, 이번 달에도 약간의 배당이 있어서 수익률은 조금 개선된 -13.88%를 기록하였습니다. 지난 한 달간의 각 자산군의 가격 변동 그래프입니다. 미국외 선진국 시장과 신흥국 시장이 10% 넘게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고요, 수비 자산들도 5% 안팎의 상승을 보였습니다. 지난 한 달간 가.. 2022. 12. 8. 2022년 11월 연금저축펀드 수익률 현황 (운용 742일 째) - 정적자산배분 2022년 11월 연금저축펀드 현황입니다. (운용 742일째) 1. 자산별 등락률 지난 달에 큰 하락을 보였던 신흥국 주식이 이번 달에는 크게 반등하였습니다(+7.77%). 마찬가지로 지난 달 안 좋은 모습을 보였던 금(+6.92%)과 국고채(+7.46%)도 이번 달에는 꽤 많이 상승했네요. 미국 S&P500(+2.86%)도 약간의 상승은 보였지만, 미국채 10년(-2.74%)은 마이너스를 기록했습니다. 2. 자산배분 진행 및 누적 수익률 지난 포스트에서 언급한 것처럼 좀 더 높은 MDD를 감수하더라도 장기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노리기 위해 위험 자산의 비중을 조금 높였습니다. https://carragher.tistory.com/343 정적자산배분 전략으로 연금저축펀드 2년 운용한 후기 어느덧 연금저축 .. 2022. 11. 25. 이전 1 2 3 4 5 6 7 ··· 14 다음 반응형